본문 바로가기
  • Home

일본어 동사활용체계 기술들에 대한 비교분석 및 제언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1, (31), pp.201-214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양경모 1

1목포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이 연구는 일본어 동사활용체계에 대한 여러 문법가들의 기술을 검토․비교함으로써, 각각이 어떤 이론적 근거 하에 활용체계를 세우고 있는지 파악하고, 각 활용체계에 문제점은 없는지를 짚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일본어 동사활용체계에 대한 필자의 견해도 함께 제시하였다. 활용체계의 설정은, 활용이라는 것이 어떤 현상을 말하는 것인지, 그리고 활용형을 왜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함께 분명한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설정되어야 하며, 단지 일본어교육 상의 필요에 따라, 혹은 자신이 짜낸 어떤 논리적 틀에 맞추기 위해 자의적으로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가령, 「行きます」, 「行くだろう」, 「行かれる」 등을 「行く」의 한 활용형으로 볼 것인지 하는 문제는 상당한 성찰을 요하는 문제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교문법을 비롯해, 寺村秀夫(1984), 鈴木重幸(1972), 城田 俊(1998), 庵 功雄(2001)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일본어 동사활용체계들에 대해 각각 어떤 원칙과 기준 하에 체계를 세우고 있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활용표를 만들어 제시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서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 비교·분석하고, 이들 활용체계가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것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 다룬 문법가들의 견해와 논의를 토대로 하여, 필자는 일본어 동사활용체계를 설정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원칙을 제안하고, 그에 따르는 활용표를 만들어 제시해 보았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