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86787},
author={HyunJung Oh},
title={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1},
number={31},
pages={231-243}
TY - JOUR
AU - HyunJung Oh
TI -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1
VL - null
IS - 3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31
EP - 243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연체수식어로 사용된 한국어 동사를 중심으로, 동사가 명사나 형용사와 함께 주명사를 수식할 때의 어순을 계량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동사와 명사가 주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동사로서의 성격이 강할수록 다른 수식어 앞에 놓이게 되고 동사로서의 성격이 약화될수록 주명사 가까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사와 형용사가 주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서는 동사에 비해 영속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형용사가 주명사 가까이에 놓이게 되는 것을 보았다. 이는 한국어의 연체수식어에도 일정한 어순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동시에 연체수식어 간의 어순은 비속성적 수식어가 그보다 속성적 수식어 앞에 놓이기 쉽다는 조건에 따르고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일본어 동사의 어순과도 일치하는 결과로서 한일 양 언어에 있어 연체수식어의 어순을 지배하는 일반적・보편적 조건이라 볼 수 있다.
KW -
DO -
UR -
ER -
HyunJung Oh. (2011).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1, 231-243.
HyunJung Oh. 2011,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1, pp.231-243.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1 pp.231-243 (2011) : 231.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2011; 31 : 231-243.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1(2011) : 231-243.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1, 231-243.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1; 31 231-243.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2011; 31 : 231-243.
HyunJung Oh. "連体修飾句の語順 -韓国語の動詞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1(2011) : 231-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