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19426},
author={Lee, Kyong Chul and Lee Sang Hee},
title={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2},
number={35},
pages={277-295}
TY - JOUR
AU - Lee, Kyong Chul
AU - Lee Sang Hee
TI -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2
VL - null
IS - 3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77
EP - 295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베트남漢字音과 日本漢字音의 吳音과 漢音의 比較分韻表를 작성하여 秦音에서 발생한 輕脣音이 베트남漢字音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또한 그 분석을 통해 베트남漢字音이 어느 시대음을 母胎로 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秦音에서 輕脣音化한 10개韻에 대해서 베트남漢字音에 반영된 양상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1)日本 吳音은 南北朝期의 南方系 字音을 母胎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기상으로 輕脣音을 반영하지 않으며, 日本 漢音은 日本語의 音韻體系上 p계의 重脣音과 f계의 輕脣音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聲類에서는 輕脣音의 반영이 나타나지 않지만, 韻類에 輕脣音을 명료하게 반영하고 있다.
2)베트남漢字音의 聲母에서는 주로 幇·竝母를 b로, 非·奉母를 ph로 변별하여 수용했다는 점, 그리고 明母를 m으로, 微母를 v로 수용했다는 점을 통해 輕脣音化의 반영을 알 수 있다. 단지 聲母에도 상당수 輕脣音化 이전의 층이 혼재하고 있다.
3)베트남漢字音의 韻母에서는 日本 漢音의 경우처럼 牙喉音字와 輕脣音字의 字音形 차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輕脣音化의 반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陽韻의 -ɔŋ/k형, 元韻의 -an/t형, 文韻의 -ə:n/t형, 鍾韻의 -oŋ/k형과 -ɔŋ/k형, 凡韻의 -am/p형, 微韻의 -i형, 廢韻의 -ɛ형, 東韻의 -uŋ/k형과 -ɔŋ형, 虞韻의 -o형과 -u형, 尤韻의 -u형은 輕脣音化를 반영한 字音形이며, 陽韻의 -ɯəŋ/k형, 元韻의 -jən/t형과 -on형, 鍾韻의 -uŋ형, 凡韻의 -jəm형, 微韻의 -ji형, 虞韻의 -ɔ형과 -ə:u형, 尤韻 非·敷·奉母字의 -əu형과 -uu형은 輕脣音化 이전의 층을 母胎로 하는 字音形으로 확인되었다.
4)輕脣音化의 반영 여부를 통해 베트남漢字音이 秦音을 母胎로 하고 있는 층이 주층을 이룬다는 점은 기존의 논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지 베트남漢字音 역시 韓國漢字音처럼 여러 층이 혼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중국어의 音韻變遷에 관한 사항별로 베트남漢字音의 여러 층을 세부적으로 분류해내는 작업이 절실히 요구된다.
KW -
DO -
UR -
ER -
Lee, Kyong Chul and Lee Sang Hee. (2012).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277-295.
Lee, Kyong Chul and Lee Sang Hee. 2012,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 pp.277-295.
Lee, Kyong Chul,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pp.277-295 (2012) : 277.
Lee, Kyong Chul,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2012; 35 : 277-295.
Lee, Kyong Chul and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277-295.
Lee, Kyong Chul;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277-295.
Lee, Kyong Chul;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2; 35 277-295.
Lee, Kyong Chul,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2012; 35 : 277-295.
Lee, Kyong Chul and Lee Sang Hee. "輕脣音化の 反映を通して見たベトナム漢字音の母胎について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277-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