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02615},
author={Lee Eun Mi},
title={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7},
pages={149-163}
TY - JOUR
AU - Lee Eun Mi
TI -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7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49
EP - 163
SN - 1229-7275
AB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친구 간 대화의「とか」의 사용양상을 화용론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대학생 친구 간 대화에 나타난「とか」의 담화상의 기능은 크게 예를 들어 열거하는 ‘예시’의 기능과 ‘예시’의 기능이 없이 단정 회피를 함으로써 발화를 완화시키는 ‘발화완화’의 기능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담화상의 문맥에 따라 ‘예시’기능은 ‘열거’, ‘대표예시’, ‘구체화’ 로, ‘발화완화’기능은 ‘화제도입·전환’, ‘의견제시’, ‘감정표출’, ‘인용’, ‘불확실성’, ‘기타’로 세분화되었다.「とか」는 대화 참가자의 성별이나 문중·문말이라는 출현 위치와는 관계없이「とか」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예시’의 기능보다 ‘발화완화’의 기능으로서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그 경향은 남성 간 대화에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화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とか」는 타인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언어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とか」가 ‘예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예를 열거하는 ‘열거’보다 ‘대표예시’로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발화 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인용’이나 ‘화제도입·전환’의 문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사회인의 첫 대면 대화에서 사용된「とか」의 결과와 비교하면, ‘발화 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또 ‘인용’시의 사용비율이 높은 점이 대학생 친구 간 대화에서 사용된「とか」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향후, 대학생 첫 대면 대화 등 보다 다양한 세대 및 인간관계 등을 고려한 면밀한 분석을 통하여「とか」의 사용 양상을 다각적으로 고찰해가고자 한다.
KW -
DO -
UR -
ER -
Lee Eun Mi. (2013).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7, 149-163.
Lee Eun Mi. 2013,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7, pp.149-163.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7 pp.149-163 (2013) : 149.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2013; 37 : 149-163.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7(2013) : 149-163.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7, 149-163.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7 149-163.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2013; 37 : 149-163.
Lee Eun Mi. "大学生の友達同士の会話における「とか」の語用論的な用法"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7(2013) : 14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