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02696},
author={HWANG, YOUNG HEE},
title={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7},
pages={231-245}
TY - JOUR
AU - HWANG, YOUNG HEE
TI -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7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31
EP - 245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일본에 의한 식민지교육환경에서 일본어를 습득하고 현재도 그 일본어를 보존하고 있는 5명의 중국 연변지역의 조선족노년층과 일본어모어화자와의 대화에 나타난 아스펙트 형식의 실태를 (같은 시기에 식민지일본어에 접촉한) 한국과 대만, 在日, 오사카의 노년층이 보존하고 있는 일본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국 조선족노년층일본어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중간언어로서 일본어 아스펙트 형식의 습득, 보존, 퇴행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일본어접촉이 중단되기까지의 습득환경과 현재의 일본어능력이 비례하는 형태로 아스펙트 형식이 보존되고 있는 가운데 방언형 テオル보다 표준형 テイル가 우선되는 아스펙트 체계이다.
(2)중국, 한국, 대만, 在日, 오사카의 노년층일본어에서는 テオル形에서 テイル形으로의 移行이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일본>在日>한국>대만>중국 노년층의 순으로 テオル形의 보존도가 높다.
(3)동아시아지역 식민지일본어 가운데 중국 조선족노년층의 중간일본어에서 아스펙트 형식 テオル形의 보존도가 낮고 テイル形의 보존도가 높은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a)한국의 경우와 같이 존재동사オル를 존재의 의미로 분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적은 점에서 존재동사부의 실질적 의미가 テオル의 보존에 관여하고 있지 않다. 그 근거로는 문법적인 テオル形이 보이지 않고 그 사용이 어휘적인 레벨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b)テオル形과 テイル形은 동사의 종류와 문장 기능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치환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 형식은 동시에 사용되기 쉽다. 이로 인해 テオル形과 テイル形을 동시에 접촉하고 보존하는 그룹에서는 제2언어잠복기에 존재동사와 아스펙트 표현에 비표준적인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고, 다른 동아시아지역과 같이 テオル形이 순수한 방언형도 아니며 한국과 같이 존재동사에서 유추된 것도 아닌, 습득 당시의 규범적인 일본어로서 체계적으로 단순한 テイル形이 보존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는 テオル形도 사용하는「分析化」보다 テイル形으로의「単純化」가 동아시아지역 식민지일본어의 아스펙트 형식의 보존에 강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KW -
DO -
UR -
ER -
HWANG, YOUNG HEE. (2013).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7, 231-245.
HWANG, YOUNG HEE. 2013,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7, pp.231-245.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7 pp.231-245 (2013) : 231.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2013; 37 : 231-245.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7(2013) : 231-245.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7, 231-245.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7 231-245.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2013; 37 : 231-245.
HWANG, YOUNG HEE. "日本語のアスペクト形式からみる中間言語の変化"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7(2013) : 23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