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26539},
author={Kim Boae},
title={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8},
pages={3-19}
TY - JOUR
AU - Kim Boae
TI -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3
EP - 19
SN - 1229-7275
AB - 본 논문에서는 자막번역의 구성요소 중 ‘지시어’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하고, 향후 실용적인 번역전략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시어의 범위는 ‘こ(이)’, ‘そ(그)’, ‘あ(저)’로 한정하였고 , 분석대상은 영화 ‘러브레터’와 ‘쉘 위 댄스’로 하였다. 영상에 등장하는 지시어의 일한 자막번역 양상을 ‘이’계열, ‘그’계열, ‘저’계열, 생략, 명시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더불어 현장지시 및 문맥지시를 구분하고, 각각의 영상에 몸짓용법이 동반되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일본어 지시어 ‘こ’와 ‘そ’는 한국어 자막에서도 ‘이’와 ‘그’로 번역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지시어 ‘あ’는 다양한 형태로 번역되고 있었다. 한편 전체 지시어의 약 35%가 자막번역에서 생략되고 있었고 특히 문맥지시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시어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았고 분석대상 영상이 일본대중문화개방 초창기 작품이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향후 이와 같은 점을 보완하여 후속연구로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KW -
DO -
UR -
ER -
Kim Boae. (2013).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3-19.
Kim Boae. 2013,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 pp.3-19.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pp.3-19 (2013) : 3.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2013; 38 : 3-19.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3-19.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3-19.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8 3-19.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2013; 38 : 3-19.
Kim Boae. "指示語「こ、そ、あ」の字幕翻訳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