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26921},
author={Eunjoo Lee},
title={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8},
pages={191-215}
TY - JOUR
AU - Eunjoo Lee
TI -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91
EP - 215
SN - 1229-7275
AB - 본 논고에서는 젠더와 교육, 학교교육에 나타난 젠더, 교과서문화와 젠더에 초점을 맞춰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의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에 은밀하게 감춰진 ‘젠더’에 대한 표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즉 일본어라는 커리큘럼 속에 녹아 있는 ‘성별역할분업’과 ‘어머니에 대한 이미지’의 표상을 둘러싼 저자들의 선택과 배제의 논리를 밝혔다. 특히 여성저자와 남성저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내고자 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고에서는 교과서 속에 나와 있는 삽화와 사진, 그리고 대화내용 또는 문장을 소재로 분석함으로써 ‘일본어교육’이라는 커리큘럼을 통한 학교교육이 여성은 더욱 여성답게 남성은 더욱 남성답게 남녀에게 각기 다른 젠더관을 강하게 심어주는 권력 장치의 하나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저자와 남성저자가 고정화된 젠더상을 표상하고 있는 점도 강하게 존재하는 반면, ‘젠더의 이질성’이라는 이중적이고 중층적인 표상을 시도하는 부분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저자들이 ‘젠더프리’라는 가능성까지도 시도하려 했음을 읽어낼 수 있었다.
KW -
DO -
UR -
ER -
Eunjoo Lee. (2013).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191-215.
Eunjoo Lee. 2013,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 pp.191-215.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pp.191-215 (2013) : 191.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2013; 38 : 191-215.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191-215.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191-215.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8 191-215.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2013; 38 : 191-215.
Eunjoo Lee. "日本語 教科書に表われた「ジェンダー」表象 -第六次教育課程『高等学校日本語Ⅰ·Ⅱ』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