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26925},
author={Cho, Nam sung},
title={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8},
pages={229-246}
TY - JOUR
AU - Cho, Nam sung
TI -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29
EP - 246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한국의 대학원(46개교)에서 2003~2012년에 수여한 일본어 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주제를 분석했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의 대학원(46개교)에서 2003~2012년에 수여한 일본어 전공 석사학위논문은 1046편으로, 일본어학(55.2%), 일본문학(32.9%), 일본학(12.0%) 분야의 순서로 많다.
(2) 일본어학(577편) 분야에서 논문 편수는 매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정한 비율(평균 57.7편)로 발표되고 있다.
(3) 일본어학의 각 항목에서 문법 28.8%, 어휘 18.9%, 일본어교육 15.3%, 언어생활 9.9%, 일본어사 6.6%, 표현 6.1%, 담화·문장 4.3%, 경어 3.5%, 음성·음운 3.1%, 문자·표기 2.8%, 총기 0.5%, 방언 0.3%의 순서로 비율이 높다. 문법과 어휘의 비율이 47.7%를 차지하고 있다.
(4) 문법 항목은 모달리티(20.5%), 복합동사(11.4%), 어휘는 유의어(26.6%), 접두어·접미어(11.0%), 신어·유행어(10.1%), 의성어·의태어(10.1%), 일본어교육은 교수·학습(39.8%). 습득(23.9%), 교재·교과서(13.6%) 등의 비율이 높다. 그리고 문법과 어휘 항목은 연도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정한 비율(각각 평균16.6편, 10.9편)로 발표되고 있다.
KW -
DO -
UR -
ER -
Cho, Nam sung. (2013).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229-246.
Cho, Nam sung. 2013,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 pp.229-246.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pp.229-246 (2013) : 229.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2013; 38 : 229-246.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229-246.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229-246.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8 229-246.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2013; 38 : 229-246.
Cho, Nam sung. "日本語專攻の修士論文(2003~2012年)の主題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229-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