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26928}, author={한중선}, title={『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8}, pages={263-279}
TY - JOUR AU - 한중선 TI -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63 EP - 279 SN - 1229-7275 AB - 본고는 제2차 교육과정기 일본어 교과서인『고등학교 日本語讀本』(上)(下)에 관한 분석과 1973년도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과과정으로 일본어 교육이 실시되는 시대적 상황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어 사용을 강요받아 왔던 세대들은 우리나라에서 일본어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컸다. 이로 인해 일본어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쉽게 실행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에 대통령의 결단으로 1973년부터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 일본어 교육이 실시되게 된 것이다. 물론 이전에 특별한 상황이지만 제주도에서 1967년부터 오현고등학교에서 일본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다.
1972년 7월5일 박정희 대통령이 일본어를 제2외국어로 교과과정에 넣어 교육하도록 지시한 후, 바로 이듬해인 1973년부터 고등학교에 일본어 교육이 실시되어 일본어 교육사에 획기적인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리하여 광복 후 28년만인 1973년 3월5일 첫 고등학교용 일본어 교과서가 발행되게 된다. 교과서의 명칭은『고등학교日本語讀本』(上)이다. (下)권은 그 다음해인 1974년1월10일 발행된다.
이 일본어 교과서는 다른 제2외국어와는 달리 단일 검인정교과서로 일본의 문화 사회의 이해보다는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외국어 학습과 우리나라 전통 문화와 발전 모습을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어 편집되었다. KW - DO - UR - ER -
한중선. (2013).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263-279.
한중선. 2013,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 pp.263-279.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pp.263-279 (2013) : 263.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2013; 38 : 263-279.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263-279.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263-279.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8 263-279.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2013; 38 : 263-279.
한중선. "『高等学校日本語読本』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263-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