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879894},
author={Huicheul Jung and Jeon, Seong-Woo and 이동근 and 마츠오카유즈루},
title={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sn={1225-7184},
year={2003},
volume={12},
number={5},
pages={383-393}
TY - JOUR
AU - Huicheul Jung
AU - Jeon, Seong-Woo
AU - 이동근
AU - 마츠오카유즈루
TI -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Y - 2003
VL - 12
IS - 5
PB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P - 383
EP - 393
SN - 1225-7184
AB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향후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1^{\circ}C$에서 $3.5^{\circ}C$ 상승할 경우, 각 기후대가 극방향으로 약 150~550km 이동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기후변동 연구결과들은 삼림의 이동속도를 100년간 4~200km로 추정하고 있어 식생이 기후대의 이동을 따라가지 못하여 사멸되는 지역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약 960km의 남북으로 긴 지형적 특성을 가진 한반도 역시 이러한 영향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기존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함께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한 영향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IPCC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RES 시나리오의 대기대순환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 결과와 AIM(Asia Integrated Model)/Impact[Korea]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된 Holdridge 생물기후분류의 연구성과를 이용하여, CO2농도 배증시의 한반도지역의 자연식생 영향과 적응 가능성을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삼림의 이동속도를 0.25, 0.5, 1.0, 2.0(km/yr)로 변화시키며 2100년 한반도 자연식생의 기후 변화 영향을 평가한 결과, (1)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년간 1km 이상일 경우 삼림 피해가 미미하게 나타났으나 (2) 이동이 느린 0.25km/yr의 경우, 생육위험지역을 포함한 시나리오별 전체 피해규모는 A2(17.47%), A1(9.97%), B1(6.21%), B2(5.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삼림소멸의 경우는 A2, B2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며 A2 시나리오에서 한반도의 약 2.1%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3) 전반적인 생육위험 지역의 분포는 함흥만, 영흥만의 동해안지역에 집중되었으며, A2 시나리오의 극단적 소멸예상지역은 금오산, 가야산, 팔공산을 연결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W - AIM/Impact-model;climate change;SRES;forest vegetation impact;Holdridge life zone
DO -
UR -
ER -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and 마츠오카유즈루. (2003).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5), 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and 마츠오카유즈루. 2003,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12, no.5 pp.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5 pp.383-393 (2003) : 38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2003; 12(5), 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and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 no.5 (2003) : 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5), 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03; 12(5) 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2003; 12(5), 383-393.
Huicheul Jung, Jeon, Seong-Woo, 이동근 and 마츠오카유즈루.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 no.5 (2003) : 383-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