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497739},
author={안재호},
title={周敦頤 思想 批判 },
journal={Philosophical Investigation},
issn={1598-7213},
year={2010},
volume={28},
pages={33-52},
doi={10.33156/philos.2010.28..002}
TY - JOUR
AU - 안재호
TI - 周敦頤 思想 批判
JO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PY - 2010
VL - 28
IS - null
PB - Institute of philosophy in Chung-Ang Univ.
SP - 33
EP - 52
SN - 1598-7213
AB - 여기에서 말하는 ‘비판’이란 일종의 칸트적인 개념으로, 칸트가 그의 비판서들에서 진행한 작업을 원용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칸트가 이성을 이성 아닌 것으로부터 분리 분할하여 이성의 권한과 한계를 명확하게 정립시켰듯이, 우리도 주돈이 사상을 보다 분명하게 정립하기 위해 순도 높은 그것을 뽑아내어 그 적확한 내용과 의미를 따져보자는 것이다.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주돈이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일류’ 혹은 ‘고급’이라는 타이틀을 부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인 평가, 즉 도학의 창시자 혹은 송명리학의 시조라는 평가는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주돈이는 공맹의 性善을 깊이 이해했고, 그것에 형이상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이는 전통을 지키며 시대적인 요청을 어느 정도 완수한 업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송대에 이르러 유학에게는 성선만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체계도 필요했기 때문이다.
KW -
DO - 10.33156/philos.2010.28..002
ER -
안재호. (2010).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8, 33-52.
안재호. 2010,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vol.28, pp.33-52. Available from: doi:10.33156/philos.2010.28..002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8 pp.33-52 (2010) : 33.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2010; 28 33-52. Available from: doi:10.33156/philos.2010.28..002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8(2010) : 33-52.doi: 10.33156/philos.2010.28..002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8, 33-52. doi: 10.33156/philos.2010.28..002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010; 28 33-52. doi: 10.33156/philos.2010.28..002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2010; 28 33-52. Available from: doi:10.33156/philos.2010.28..002
안재호. "周敦頤 思想 批判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28(2010) : 33-52.doi: 10.33156/philos.2010.28..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