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65008},
author={이수진 and KWON,YEON-JIN},
title={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5-083X},
year={2013},
number={62},
pages={227-252},
doi={10.15792/clsyn..62.201304.227}
TY - JOUR
AU - 이수진
AU - KWON,YEON-JIN
TI -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13
VL - null
IS - 62
PB - Chinese Literary Society Of Yeong Nam
SP - 227
EP - 252
SN - 1225-083X
AB - 漢語使字句(NP1+使+NP2+VP)的論元結構分析以被使役者的論元和格問題爲主。作爲使役行爲的對象,也作爲被使役行爲的主體,被使役者爲兼語句結構分析而作核心。按照NP2的語法上地位(包括格和題元角色),漢語使字句的論元結構可分爲如下的兩種;‘使(/讓/叫):<施事,命題>’,‘使(/讓/叫):<施事, 受事, 命題>’。在漢語使字句的論元結構爲2)的前提下,本搞提議使役標誌‘使(/讓/叫)’和VP構成複合謂語(complex predicate)而給NP2賦予賓格。Chomsky(1986) 也主張NP2在使役句的結構內不是和VP構成一個形式而是v-VP複合謂語的賓語。被使役行爲的VP雖與被使役者形成主謂關係,但在語法關係上,與使役詞V的關係更密切。所以它先與V構成複合謂語,然後取NP2爲賓語。
KW - syntactic causative;argument structure;case;theory of control;complex predicate;PRO
DO - 10.15792/clsyn..62.201304.227
ER -
이수진 and KWON,YEON-JIN. (2013).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2, 227-252.
이수진 and KWON,YEON-JIN. 2013,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62, pp.227-252.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62.201304.227
이수진,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2 pp.227-252 (2013) : 227.
이수진,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2013; 62 : 227-252.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62.201304.227
이수진 and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62(2013) : 227-252.doi: 10.15792/clsyn..62.201304.227
이수진;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2, 227-252. doi: 10.15792/clsyn..62.201304.227
이수진;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13; 62 227-252. doi: 10.15792/clsyn..62.201304.227
이수진,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2013; 62 : 227-252.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62.201304.227
이수진 and KWON,YEON-JIN. "현대 중국어 통사 사동의 논항과 격 연구"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62(2013) : 227-252.doi: 10.15792/clsyn..62.201304.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