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Information for Authors





 

1. 본 학회 학회지는 전문학술지로서 연구 논문 게재를 원칙으로 한다. , 전공 서적에 대한 서평이나 신자료의 발굴 소개도 가능하다.

2. 논문 투고 자격은 본 학회의 회원 및 논문 투고 전해년도 및 당해년도 회비 납부자로 한정한다.

3. 논문은 글로 작성하되, 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 155매 내외로 한다. , 최종 조판시 인쇄 분량이 인쇄면 30쪽를 초과할 경우(국문 요약, 참고 문헌, Abstract 포함) 쪽당 5,000원의 인쇄비를 투고자가 부담해야 한다.

4. 투고 논문은 국문 혹은 국한문 혼용문 작성을 원칙으로 한다. , 한문이나 외국어 원문 인용시, 본문에는 번역문을 인용하고 각주에 원문을 싣는다.

5. 논문의 최종 원고는 제목󰠏필자명󰠏차례󰠏국문 요약󰠏주제어󰠏본문󰠏참고 문헌󰠏Abstract󰠏Key Words’의 체재를 갖추어야 한다.

6. 참고 문헌을 반드시 기재하되, 자료의 시작과 끝의 쪽수까지 표시해야 한다.

7. 국문 요약문(800자 내외)Abstract에는 각각 주제어, Key Words5개 이상 명시한다.


대상

표시할 사항

대학 소속

대학 소속 교수(전임/비전임)

성명 / 000대학 / 000학과 / 교수

대학 소속 강사

성명 / 000대학 / 000학과 / 강사

대학 소속 대학원생

성명 / 000대학 / 000학과 / 박사과정생, 박사과정 수료생

대학 소속 연구원, 연구교수

성명 / 000대학 / 000연구소 / 연구원, 연구교수

) 000대학 학술연구교수(project명시)

대학 소속 박사후연구원

성명 / 000대학 / 박사후 연구원

기타

소속 / 직위가 있는 경우

성명 / 소속(세부부서명) / 직위

소속 / 직위가 없는 경우

성명


8. 논문 투고자는 투고자의 성명, 소속과 직위, 연락처와 학회지 수령 주소 등을 명기한다.    

9. 공동논문의 경우 제1저자와 공동저자, 교신저자 등을 구분하여 밝혀야 한다. 각각의 이름 우측 상단에 (*)기호를 붙인다. 각주란에는 주저자(책임저자), 공동저자 각각 소속을 밝힌다.

               김영희*, 김철수**

    각주  * 주저자(책임저자), 한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공동저자,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10. 논문의 투고와 심사는 JAMS 시스템을 이용한다.

    (1) 논문은 본 학회의 JAMS를 통해 투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모든 논문은 JAMS를 활용하여 학술지 인용색인 (KCI)의 논문 유사도 검사로 검증한 후 논문 유사도가 10%이상

            인 경우 원고를 반려한다.

     (3) 투고된 논문은 JAMS를 통해 심사한다.

11. 논문 투고 마감은 매년 430, 1031일이며, 이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12. 원고 작성시 다음의 내용을 따른다.

    (1) 학회지 인쇄시 편집 용지는 폭 153mm, 길이 225mm이며, 실제 본문은 폭 105mm, 길이 170mm 내로 편집되므로 그림과 표 작성에 유의한다.

    (2) 본문과 인용문은 한컴바탕으로 작성할 때, 편집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3) 소제목 번호는 ‘11)(1)’을 붙인다. 이하 항목은 필자가 선택한다.

    (4) 모든 도표와 그림 아래에 ‘[1]’, ‘[그림 1]’과 같이 표기하고 제목을 단다.

    (5) 주석 및 참고 문헌의 서지사항은 저자명󰠏논문명󰠏저서명󰠏발행처󰠏발행연도󰠏쪽수의 기준을 따르며 페이지는 으로 표기한다.

    (6) 기타 각주 및 약물 체계는 일반적 원칙을 따르되, 다음을 유의한다.

           ① 국내 논저의 경우 단행본 및 학술지명은 󰡔 󰡕, 논문명은 「 」, 작품은 <>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② 외국 논저의 경우 단행본 및 학술지명은 이탤릭체로 논문명은 “ ”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③ 직접 인용은 “ ”, 강조 혹은 간접 인용은 ‘ ’을 사용한다.

     (7) 위의 내용을 원칙으로 하나 전공 특수성을 고려하여 예외를 허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