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34811},
author={大津豊子},
title={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9},
pages={87-102}
TY - JOUR
AU - 大津豊子
TI -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9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87
EP - 102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명치중기 여성어에 있어서의 「おーなさい系統」表現의 기능을 분석하여, 여성어로서의 특징 및 그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여성어에 있어서 「おーなさい系統」表現의 위치를 명확히 하려고 한다.
「おーなさい系統」表現을 7가지 분류하여, 명치중기 문학작품의 회화문을 자료로 각각에 유형을 계층과 남성어와의 대조를 통해서 고찰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기능적으로는 명령기능을 기초로 해서, 권유기능의 重複정도에 따라 강한 명령, 지시, 권유, 친근감 등 여러 가지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같은 표현이라도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계층이나 남녀차에 따라 그 대우가치나 표현의도가 변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行動要求表現같은 작용(働き掛け)이 강한 표현은 그 강도를 경어사용으로 커버할 수 있고, 기능이 다양하고 대우가치도 조절이 가능한「おーなさい系統」表現은 「여성다움(女らしさ)」이라고 하는 애매한 언어표현을 하길 바라던 시대에, 전계층의 여성이 사용하기에 적당한 표현으로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KW -
DO -
UR -
ER -
大津豊子. (2004).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87-102.
大津豊子. 2004,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 pp.87-102.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pp.87-102 (2004) : 87.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2004; 9 : 87-102.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2004) : 87-102.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87-102.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9 87-102.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2004; 9 : 87-102.
大津豊子. "明治中期の女性語における「おーなさい系統」表現の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2004) : 87-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