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34812},
author={恩塚千代},
title={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9},
pages={103-115}
TY - JOUR
AU - 恩塚千代
TI -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9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03
EP - 115
SN - 1229-7275
AB - 일본어학습자에게 있어서 외래어의 습득은 용이하지 않다. 원어와 뜻이 다르거나 음운적 변화 등에 따른 의미해석의 곤란이 원인으로 지적되고는 있지만, 실제로 일본어학습자가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그 표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로서, 가타가나 자체의 습득이 불완전하다는 것과, 본래 일본어에는 없는 외래어음절을 표기하기 위한 가타가나의 조합 문자열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은 가타가나로 표기하는 어휘를 넓은 의미에서 [가타가나어]로 정의하고, 가타가나어를 표기하기 위한 특별한 음절표기, 가타가나의 조합 문자열을 학습시킴으로서 오자의 비율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금후의 가타가나어 표기의 지도에 일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꿔 말하자면, 장음/촉음 등의 소위 특수박에 의한 오용을 제외하면, 가타가나어에 대응하는 [가타가나표기표], 혹은 [확대가타가나50음도] 등에 따른 문자의 조합을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타가나어 표기의 지도에 유효하다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KW -
DO -
UR -
ER -
恩塚千代. (2004).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103-115.
恩塚千代. 2004,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 pp.103-115.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pp.103-115 (2004) : 103.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2004; 9 : 103-115.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2004) : 103-115.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103-115.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9 103-115.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2004; 9 : 103-115.
恩塚千代. "カタカナ語の表記指導に關する一試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2004) : 103-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