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모바일 통신 언어에 관한 일고찰-한국어와 일본어에 나타난 양상을 통해-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4, (9), pp.117-133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Yoon Sanghan 1

1동국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바일 통신 커뮤니케이션은 가상공간(cyber space)을 배경으로 하는 뉴미디어에 의해 행해진다는 점에서, 신세대가 중심이 된 언어대중에 의해 행해진다는 점에서, 그리고 독특한 언어변이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대상으로 양국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모바일 통신 커뮤니케이션 자료를 각 영역에 걸쳐 수집하고, 이것을 음운․표기․어휘․문법 면으로 분류하여 어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배경과 양상을 사회언어학적으로 밝혀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고찰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모바일 통신 언어는 1990년대 중후반 발생한 웹 대화방 언어가 그 출발점으로 인터넷의 보급, 기계의 발달 등에 의해 확산되고, 이것이 모바일 영역으로까지 나타난 것이다. (2)모바일 통신 언어는 음운, 표기, 어휘, 문법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데 한국어와 일본어에 매우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이것은 단순한 언어적 유사성이 아니라 모바일 통신 커뮤니케이션이 지닌 매체적 특성과 이것을 사용하는 신세대들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라 이해할 수 있다. (3)모바일 통신 언어는 경제적․기계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그 발생과 확산에 중요한 배경이 된다. (4)모바일 통신 언어는 통신환경의 개선이나 매스미디어의 작용 등에 의해 더욱 확산될 것이며 이러한 현상에 대한 대조언어학적․사회언어학적․언어사회학적․교육학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