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36120},
author={Na Gong Su},
title={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10},
pages={61-79}
TY - JOUR
AU - Na Gong Su
TI -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10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61
EP - 79
SN - 1229-7275
AB - 본고는 명치기의 한어사전을 통해서 唐話자료의 발굴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명치기는 唐話学이 쇠퇴했던 시기로 그다지 힘이 없었던 점이 통념이다. 그러나, 필자가 명치기의 문학을 조사한 바 중국속어로부터 유래하는 어휘가 보여지는 것을 발견하고 아직도 唐話学은 이어지고 있었음을 알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山田美妙의 한어사전 漢語古諺熟語大辞林을 통해서 唐話資料로서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찰결과 중국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용법이라 할 수 있는 「児․子․的․了․得․不得․地」와 관련된 어휘가 많이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속어와 관련된 어휘가 등장하여, 唐話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점은 미미하기는 하지만, 아직도 명치기에는 唐話学의 영향권하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漢語古諺熟語大辞林에서 나오는 어휘가 뒷받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KW -
DO -
UR -
ER -
Na Gong Su. (2004).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0, 61-79.
Na Gong Su. 2004,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0, pp.61-79.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0 pp.61-79 (2004) : 61.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2004; 10 : 61-79.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0(2004) : 61-79.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0, 61-79.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10 61-79.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2004; 10 : 61-79.
Na Gong Su. "山田美妙著「漢語古諺熟語大辞林」の唐話資料的性格"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0(2004) : 6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