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종조사의 사용 양상-漫畵 「H2」를 자료로 하여-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4, (10), pp.81-97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水野俊平 1

1전남대학교

Candidate

ABSTRACT

일본어의 終助詞는 문장 말미에 나타나 문장을 완결시킴과 동시에 감동, 금지, 의문, 반어(反語), 희망, 강조 등을 나타내는 조사로 정의된다. 본고에서는 終助詞의 실제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주간 만화 잡지 週刊少年サンデー에 연재된 만화인 H2(전34권)를 조사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H2 1권~34권에서는 모두 19,094개의 대사가 추출되었고 그 중 終助詞가 쓰인 대사는 8,533개였다. 이 중에서 방언으로 간주되는 대사를 제외하면 8,525개, 총 61종이다. H2에 나타난 終助詞의 종류는 선행 연구의 終助詞 분류와 거의 일치를 보인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終助詞가 결합된 형태는 선행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인다. 즉 두 개 이상의 終助詞가 결합된 형태는 선행 연구에 제시된 형태보다 훨씬 많은 형태가 쓰이고 있다. 또한 終助詞의 용법을 남녀 사용 양상의 차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선행 연구에서 남자 전용․여자 전용으로 규정되어 있던 終助詞의 일부가 남녀 구별 없이 쓰이고 있다는 것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남녀간의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 終助詞도 남녀 구별 없이 사용되면서 새로운 뜻이 첨가된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終助詞의 사용 양상은 선행 연구의 연구 결과와 괴리된 부분이 적지 않아 조사 대상을 확대하여 더욱 세밀한 조사를 통한 사용 양상 규명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