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한국어의 「한자어+하다」형용사와 일본어의 형용동사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4, (10), pp.99-116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Mi young Oh 1

1숭실대학교

Candidate

ABSTRACT

한국어와 일본어는 일반적으로 통사적인 유사성과 어휘적인 유사성이 강조된다. 그로 인해 학습 과정에서 모어의 전이가 일어나기 쉽고, 나아가서는 모어의 간섭도 자주 발견된다. 이에 한자어와 같이 유사성에 대한 학습자의 기대가 높은 부분일수록 보다 정확한 대비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의 「한자어+하다」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일본어 어휘에 대해 대비 고찰한 것이다. 한국어학습용어휘에서 추출한 「한자어+하다」형용사에 대해서 그것에 대응하는 일본어 어휘를 선정하고, 그것이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조사하고, 대응하는 어휘의 품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체 118예 중, 동일한 한자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본어대역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14예였다. 그 외의 104예 중, 70%에 해당하는 72예는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한자어의 위상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또 「한자어+하다」형용사의 대부분은 일본어 형용동사에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양언어에서 외래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한자어+하다」형용사와 형용동사가 수행한 역할이 비슷했던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근 혹은 어간의 독립성의 측면에서도 유사한 점이 있었으나 한국어 쪽에 보이는 「用言の語根分離現象」는 일본어 형용동사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