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限定のとりたて詞」の意味的特徵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4, (10), pp.211-227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esook Cho 1

1동국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본 논문은 일본어의 한정의 도리타테詞 「だけ」 「ばかり」 「しか」를 대상으로 3형식은 모두 自者肯定, 他者否定의 이중의 의미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은 일치하지만 각 형식이 나타내는 自者肯定, 他者否定의 의미적 양상이 다르다는 것에 착안하여 각 형식이 가진 본질적 의미가 다르다는 점을 밝히고 3형식의 의미적 異同 및 그에 따른 통사론적 異同을 논의한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결과 「だけ」와는 달리 「ばかり」는 自者多回表示라는 기능을, 「しか」는 他者期待表示라는 독자적인 의미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특징에 의해 「ばかり」 「しか」에는 각각 상태성술어, 부정술어, 완료형식 등과의 결합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지적했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