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76805},
author={권동현},
title={「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9},
pages={29-49}
TY - JOUR
AU - 권동현
TI -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9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9
EP - 49
SN - 1229-7275
AB - 捷解新語삼본(三本)에 있어서 사물을 나타내는 지시대명사 「これ」「それ」「あれ」「どれ」「かれこれ」에 대해서 먼저 사전적인 어의(語義)를 살펴본 후 먼저 형태적으로 분류하고 어형(語形)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것을 비교․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これ」 및 「それ」의 경우 원간본을 중심으로 형태적으로 보면 각각 총61龋, 총18龋가 나타나는데 의미적인 관계는 뒤에 오는 조사와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태적으로는 사물을 나타내는 지시사의 용법으로 쓰이고 있지만 의미적으로는 방향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사의 용법으로도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あれ」의 경우 원간본을 중심으로 형태적으로 보면 총4龋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를 다시 의미적으로 살펴보면 인칭을 나타내는 용법(2龋)과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사의 용법(1龋) 및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사의 용법(1龋)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捷解新語에 있어서 사물을 나타내는 지시사의 용법으로 쓰인 예는 찾아볼 수 없었다.
「どれ」의 경우 원간본 중심의 예는 존재하지 않으며 개수본 및 중간본에서 각각 1龋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형태적으로 보면 사물을 지시하는 용법으로 사용된 것 같지만 의미적으로 보면 모두 장소를 나타내는 부정칭(不定称)의 용법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かれこれ」의 경우, 원간본을 중심으로 보면 총3龋가 나오는데 이에 대한 한국어 대역은 「뎌렁이렁」「이걷뎌걷」「져걷이걷」「彼此」로 되어 있다. 「뎌렁이렁」 및 「져걷이걷」으로 표기되어 있는 한국어 대역(対訳)은 일한(日韓)대역에서 오는 오역(誤訳)이라 여겨진다.
KW -
DO -
UR -
ER -
권동현. (2004).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29-49.
권동현. 2004,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 pp.29-4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pp.29-49 (2004) : 2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2004; 9 : 29-4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2004) : 29-4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9, 29-4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9 29-4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2004; 9 : 29-49.
권동현. "「捷解新語」における事物を表す指示代名詞につい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9(2004) : 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