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77946},
author={田연소子},
title={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4},
number={10},
pages={263-275}
TY - JOUR
AU - 田연소子
TI -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4
VL - null
IS - 10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63
EP - 275
SN - 1229-7275
AB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 음성 교육의 기초가 되는 감정과 Intonation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어 학습자의 감정을 내포한 음성에 대한 청취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어 모어화자(이하; 모어화자로 약칭)의 음성 청취실험을 모어화자와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청취실험결과 모어화자는 전체적으로 정답률이 높았으며, 화자의 의도와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였다. 한편, 일본어학습자도 모어화자와 같이 화자의 의도와 감정을 지각하여, 정답률이 높은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일본어 학습자의 경우 [의문문]인가 [평서문]인가를 구별하는 실험에서는 화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고 있었으나, 감정의 지각에 있어서는 화자의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위와 같이 청취실험에 입각하여 음성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정답률이 높은 음성의 경우 감정을 내포한 음성은 [평정]의 음성과 비교할 때 문 두에서 F0(基本周波数)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감정의 종류에 따라서는 문 말에서 감정을 나타내는 intonation pattern이 관찰되었고, 일본어수준이 중급이상인 일본어학습자의 경우에도 감정을 파악하는 청취는 어렵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문두와 문 말의 국소적인 intonation pattern이 감정의 구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KW -
DO -
UR -
ER -
田연소子. (2004).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0, 263-275.
田연소子. 2004,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0, pp.263-275.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0 pp.263-275 (2004) : 263.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2004; 10 : 263-275.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0(2004) : 263-275.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0, 263-275.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4; 10 263-275.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2004; 10 : 263-275.
田연소子. "感情を含む日本語音聲に對する日本語學習者の聞き取りについ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の場合-"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0(2004) : 263-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