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0999130},
author={양경모},
title={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3},
number={7},
pages={61-75}
TY - JOUR
AU - 양경모
TI -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3
VL - null
IS - 7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61
EP - 75
SN - 1229-7275
AB -
이 논문은 「V-こむ」 동사의 후항요소인 「こむ」의 의미 기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こむ」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동사들과 결합하면서 복합동사를 형성하는데, 선행동사가 어떤 종류의 것인가에 따라 그 의미 해석이 일정하지 않은 다의적 성격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많은 「V-こむ」 동사들과 그것들이 쓰인 예문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こむ」가 어떤 부류의 동사들과 결합하며, 각각의 경우에 어떤 의미로 해석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こむ」가 표현하는 의미들 사이에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존재화 은유’(ontological metaphor)와 ‘은유적 写像’이라는 인지의미론적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こむ」의 기본적 의미는 ‘공간내부로의 물리적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こむ」에 의해 표현되는 기본적 상황의 특성이 은유적 写像이라는 인지작용을 거쳐 현실세계의 다양한 측면에 투영됨으로써 「こむ」의 사용 범위가 확장되기에 이르고, 결국 「こむ」의 의미 영역이 넓어지게 된 것이다. 「こむ」의 2차적 의미라 할 수 있는 ‘固着性’, ‘濃密性’, ‘累積性’ 따위의 의미도 ‘自己 내부 이동’과 관련된 현실적 경험으로부터의 은유적 写像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KW -
DO -
UR -
ER -
양경모. (2003).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7, 61-75.
양경모. 2003,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7, pp.61-75.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7 pp.61-75 (2003) : 61.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2003; 7 : 61-75.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7(2003) : 61-75.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7, 61-75.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3; 7 61-75.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2003; 7 : 61-75.
양경모. "A study on the Meaning of Japanese v-Kom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7(2003) : 6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