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A spatio-temporal study on Japanese voicing affricates/c/ by the Korean learn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5, (12), pp.143-156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司空煥 1

1고려대학교

Candidate

ABSTRACT

한국어 화자에 의한 일본어「ザ行音」의 발음에는 구개음화의 경향이 강하여,「ザ行音」의 생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ザ行音」과「ジャ行音」의 구분도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파찰음에 있어서 한국어와 일본어간에 존재하는 조음상의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화자의 일본어 파찰음에 대한 조음적 특성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팔라토그래프(EPG)를 이용한 실험적 분석을 통해 일본어「ザ行音」에 있어서의 한국어화자의 발음 경향을 명확히 검증하고, 그 원인의 해명과 더불어 유효한 음성지도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화자 및 일본어화자가 일본어 파찰음을 조음할 때 구강내의 조음기관, 특히 혀와 입천장간의 접촉패턴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최대 접촉점을 중심으로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양 언어화자간에 있어서「ザ行音」조음시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치경부」와「치경경구개부」에서의 혀의 상대적인 고저관계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일본어화자의 경우 혀와 입천장간의 접촉율이 가장 높은 조음 위치가「치경부」임에 반해, 한국어화자의 경우에는「치경경구개부」였다. 2)「ザ行音」과「ジャ行音」생성에 있어서, 일본어화자는 두 음을 조음적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있음에 반해, 한국어 화자는 두 음의 조음상의 협착운동에 관해 그 시간적 변화 패턴상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