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Sentence Pattern and Use of the Adjective Predicative Construction for the Meaning of [Isikikankaku]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5, (14), pp.81-93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朴海煥 1

1영동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본고는 「意識感覚」을 나타내는 일본어의 형용사술어문의 표현에 대하여 문형론의 관점에서 문의 구조와 단어의 의미와의 관계를 분석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意識感覚」을 나타내는 형용사술어와 문형의 파악, 각 문형과 명사구나 형용사술어의 의미 특징·조사의 역할 등과의 관계의 분석, 이들 형용사술어문의 주요 문형과 용법 및 문 구조의 특징의 파악 등이다. 분석의 결과, 「意識感覚」을 나타내는 일본어의 형용사술어문의 주요 문형과 용법은 「N2は(が)+N1が+形」문형은 논리적인 면에서의 「意識感覚」 판단의 총괄적 용법과 전신감각의 대상, 「N1は·が+形」문형은 실제적인 면에서의 「意識感覚」 판단의 총괄적 용법, 「N2は·が+N1に+形」문형은 「意識感覚」 판단의 창구의 용법, 「N2に+N1は·が+形」문형은 「意識感覚」 판단을 느끼는 주체의 용법, 「N2は·が+N1で+形」문형은 「意識感覚」 판단의 원인 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意識感覚」을 나타내는 형용사술어문의 그 외의 주요 특징으로서는, 감각을 느끼는 주체가 생략된 1항목 표현이 많이 사용되는 것, 조사「に」의 용법과 같은 문형에 있어서의 명사구의 항목의 조사와 명사구의 순서 및 명사구의 의미특징과의 관계, 「眠い, だるい, 辛い」 등의 전신적인 「意識感覚」 표현의 1항목 용법, 「眠い」 등의 감각 판단의 원인의 용법, 「感情, 視覚, 聴覚, 嗅覚, 味覚, 材質, 気象」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용사술어문과의 접점, 전신 감각 판단의 0항목문의 용법 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