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Practice of project work in South Korea and the lrarner's attitude -Trial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Advanced Class in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5, (14), pp.67-79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松田勇一 1

1那須대학

Candidate

ABSTRACT

본고는, 한국 부경대학교의 일본어 상급 클래스에서 프로젝트워크의 실천 보고와 수업에 참가한 학습자의 의식 조사를 기초로 고찰한 것이다. 본 수업에서 실시한 프로젝트워크의 흐름은 앙케이트 작성, 실시, 집계, 그래프·발표 원고 작성, 발표, 피드백이었다. 수업 후, 의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었다. (1)한국에서의 프로젝트워크는 학습자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2)한국에서의 프로젝트워크는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높인다. 그러나, 프로젝트워크를 통한 4기능의 습득에 관한 학습자의 자기 평가는 엄하다. (3)한국에서의 프로젝트워크를 통해서, 학습자는 일본어 능력의 필요성(특히 「말하기」기능)을 느낀다. (4)프로젝트워크에 대한 종합적 평가에는 「그룹의 분위기는 좋았나」, 「말하는 것이 능숙해졌다」라고 하는 자기 평가, 「더 능숙하게 썼으면 좋겠다」라는 학습 의욕이 관련하고 있다. (5)프로젝트워크 중에서는, 앙케이트 작성, 결과발표, 그래프 작성이라는 능동적인 활동외, 그룹 활동도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교실외 활동인 앙케이트 실시, 또 피드백이나 타그룹 발표를 듣는 등의 수동적인 활동에 대한 평가는 높지 않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