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002631},
author={남득현},
title={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5},
number={13},
pages={29-42}
TY - JOUR
AU - 남득현
TI -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5
VL - null
IS - 13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9
EP - 42
SN - 1229-7275
AB - 본 논문은 일본어「ある」와 「おく」의 보조동사용법에 주목하여, 두 동사의 상관관계를 밝힘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두다」「놓다」와의 대조고찰을 통하여 일한 양 언어의 결과상(結果相)에 나타나는 이동(異同)현상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한 대역소설과 일한 병렬 코퍼스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ある」와 「おく」의 보조동사용법과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형식을 대조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먼저, 일본어「~ヲ-テアル」형식은 한국어「~을-어놓았다」형식에 대응하는 빈도수가 높았다. 그 이유는,「~ヲ-テアル」형식과 「~을-어놓았다」형식은, [+지속성][+상태성][-의지성]과 같은 의미특징에 있어서 공통된 특징을 가지며, 또한 두 형식 모두 어떤 행위에 의해 발생한 결과에 대한 목적의식이 약하고 단순한 결과의 상태를 나타낸다는 점에서도 공통된 특징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ヲ-テオイタ」형식이「~을-어두었다」형식에 대응하는 빈도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ヲ-テオイタ」형식과 「~을-어두었다」형식은 [+지속성][-상태성][+의지성]과 같은 의미특징에 있어서 공통된 특징을 가지며, 또한, 의도적인 행위에 의해 발생한 결과에 대해 목적의식이 명확하고 행위자체에 중점이 놓여져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된 특징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대응관계는 보조동사가 갖는 고유의 것이라기보다는 보조동사로서 기능하는 본동사의 기본 의미가 보조동사형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KW -
DO -
UR -
ER -
남득현. (2005).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3, 29-42.
남득현. 2005,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3, pp.29-42.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3 pp.29-42 (2005) : 29.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2005; 13 : 29-42.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3(2005) : 29-42.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3, 29-42.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5; 13 29-42.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2005; 13 : 29-42.
남득현. "A study 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that is "Aru" and "Oku""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3(2005) : 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