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A Study of Translierated Word "nangman"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3, (8), pp.15-25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yung Ho Kim 1

1호남대학교

Candidate

ABSTRACT

漢字文化圈에 속하는 중국, 한국, 일본에 있어서의 차용어에 대한 실태를 조사해보면, 고대에서 근대까지는 중국어가 중심이 되어 한국어와 일본어의 영향을 주어왔으나,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예를 들면 영어의 “socity”를 의역한 “社會” 와 “club"을 음역한 俱樂部”등、日本語 내에서 많은 신 문명어와 번역어가 성립되어, 이전과는 달리 중국어나 한국어에 차용되었다는 것이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어는 그 출처와 성립, 그리고 차용경로가 밝혀지지 않아 불분명한 어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양어“roman"의 음역어인 “浪漫”을 중심으로 그 성립과정과 출처 등을 한국, 일본, 중국문헌에 근거하여 조사한 후 그 의미와 용법에 관해서도 조사하고자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일본에서 조어된 것으로 알려져, 일본제 한자음역어로 인정되어왔던 “浪漫”은 중국의 송나라 때의 한시에서縱情, 任意의 의미를 지니고 사용되었던 어형이라는 것이 용례를 통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음역어“浪漫”은 명치시기에 일본에서 조어된 新漢語가 아니라 중국의 한시에서 사용된 어형이 명치시기에 일본에서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는 재생, 전용의 방법을 통해、서양어 “roman"의 번역어로서 사용되어 중국어와 한국어에 차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