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Emotional Vocabulary of Japanese - Centering around Emotional Adjectives-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3, (8), pp.41-55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김인숙 1

1고려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본고는 일본어의 감정어휘에 대하여 조사, 연구한 것이다. 감정어휘 중에서도 연구 범위를 형용사로 정하고 현대 일본어와 고어 일본어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는데 금번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알게 된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현대어 및 고어에 있어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감정 형용사는「厭」을 나타내는 어휘이고 이는 전체의 약 3분의 1의 수치에 해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금번 조사를「快」와「不快」로 대별하여 고찰해보면 시대를 불문하고「不快」를 나타내는 단어가 현저하게 많음을 알 수 있다. ② 고어 일본어에서「好」의 감정을 표현하는 형용사의 일부는 사용 대상 면에서 현대 일본어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③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감정형용사에서는 서로 상반되게 느껴지는 두 가지 감정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고어의 경우 현대어에서라면 의미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의미의 영역이나 경계가 애매한 예가 있어 고어 어휘의 일특징을 확인할 수가 있다. ④ 본래는 사물의 속성이나 객관적인 상태를 나타내던 형용사가 점차 그와 같은 상황에 접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감정이나 주관적인 기분을 나타내게 된 예가 있어 의미 변화를 일으킨 경우가 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