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The Responsibilities of native Japanese instructors and non-native Japanese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2, (5), pp.75-84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大塚薰 1

1한국방송통신대학교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일본어교사(원어민교사)의 현재 상황과 포함하고 있는 문제점을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한국의 대학에서 일본어교사에게 요구하는 역할은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원어민교사의 현재상황과 문제점을 알기 위해서, 2001년 3월부터 8월에 걸쳐 한국의 대학(2년제 대학포함)의 19개 대학 23명의 원어민교사와 13개 대학 14명의 한국인교사를 대상으로 면접 및 전화를 통한 인터뷰조사를 행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본어 교육의 경험 , 한국과의 관계, 담당과목등 근무학교에서 원어민교사에게 바라는 역할등이었다. 그 결과, 이하의 3개의 개선점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먼저, 수업과목에 대해서는 Team-Teaching 등의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의 장점을 살린 종합적인 커리큘럼의 작성이 필요하였다. 두번째로, 학과의 운영면에 대해서도 국제교류와 교재개발등의 원어민교사만이 할 수 있는 일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번째로, 원어민교사는 자신의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한국어 능력과 한국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자신의 전문과목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원어민교사는 자신의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자기 나름대로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한국인교사와의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을 위하여,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간의 대화의 기회를 정기적으로 가지는 노력등과 함께 원어민교사가 한국에 대한 지식과 언어를 몸에 익히는 일, 자신이 한국의 일본어교육에 공헌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는 것이 필수불가결하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