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048868},
author={Kim, Eun-Hee},
title={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7},
number={18},
pages={81-94}
TY - JOUR
AU - Kim, Eun-Hee
TI -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7
VL - null
IS - 1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81
EP - 94
SN - 1229-7275
AB -
일본어에서 동사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직접목적어(「を」격) 과 이동물(「で」격) 또는 장소(「に」격)의 명사구 사이에서 일어나는 격의 교체를 처소격 교체라고 한다. 처소격 교체구문은 처소명사가 취하는 격에 따라 처소격 구문([명사1]に [명사2]を 동사)과 대격 구문([명사1]を [명사2]/로 동사)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처소격 교체구문의 각 요소 즉 교체동사, 명사, 격체제, 두 구문의 타동성을 통사 의미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교체구문의 성립과 두 구문의 차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교체구문이 되는 동사는 동사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동사가 [명사1]의 상태의 변화와 [명사2]의 이동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경우에 한하고, 의미적으로는 「부착」의 성질이 있는 것이다. 검증된 동사의 수가 몇 개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본어의 처소격 교체는 제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교체구문에 사용되는 명사는 동사와 마찬가지로 「부착」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명사1]은 원료나 재료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적 성질을 갖는 것이고, [명사2]는 [명사1]에 부착되어 변화시킬 수 있는 원료적 성질을 갖는 것이다.
처소격 교체구문을 조사를 중심으로 보면, 격조사 「を」가 [명사2]에서 [명사1]로 또는 [명사1]에서 [명사2]로 이동하여 다른 구문을 만드는 현상이다. 이런 대격이동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은 동사가 [도착점(Goal)]과 [도구격(Instr)]의 명사를 [대상격(Theme)]으로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동변형 테스트를 해 봐도, 처소격 교체구문의 두 명사는 수동문의 주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둘 다 타동사의 직접적인 대상이 된다. 그러나 仁田(1993)의 공연성분(共演成分) 이론으로 두 구문의 차이를 보면, 처소격 구문의 [명사1]은 부차적 공연 성분이 되고, [명사2]는 주요 공연성분이 된다. 대격 구문에서는 [명사1]은 공연성분이 되고, [명사2]는 부가성분이 된다. 이것이 두 구문의 통사적인 차이이다.
처소격 교체구문의 두 구문을 타동성의 변인으로 의미적 차이를 살펴보면, 처소격 구문은 동작이나 작용의 결과가 「이동(=위치의 변화)」이고, 대격 구문은 「상태의 변화」이다. 이동보다는 상태의 변화가 타동성이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처소격 구문보다는 대격 구문이 타동성의 정도가 높다. 이런 두 구문의 타동성의 정도의 차이를 교체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KW -
DO -
UR -
ER -
Kim, Eun-Hee. (2007).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8, 81-94.
Kim, Eun-Hee. 2007,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8, pp.81-94.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8 pp.81-94 (2007) : 81.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2007; 18 : 81-94.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8(2007) : 81-94.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8, 81-94.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7; 18 81-94.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2007; 18 : 81-94.
Kim, Eun-Hee.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of Locative Alternations"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8(2007) : 8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