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For some or little of extent adver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7, (18), pp.131-146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Misuk Park 1

1한국외국어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고에서는 일본어의 정도부사가 부사의 기본적인 용법인 연용수식의 기능 이외의 연체수식과 술어 등의 부차적인 기능과 정도 한정의 의미기능에서 벗어난 정도부사에 주목하여,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정도부사「ちょっと」의 용법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정도부사「ちょっと」는 정도와 양의 〈低〉를 나타내어 명제내용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용법과 허물없는 일상회화에서 전달태도를 흐리거나, 머뭇거림, 또는 표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단순히 사용되는 즉 명제 내용의 증감에 관여하지 않는 명제 외적 용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명제 내에서 기능하는 「ちょっと」의 구문적 특징으로 먼저 정도성의 「ちょっと」는 정도의 변화성을 지니는 상태성의 語와 共起하고, 명령이나 의뢰 등의 對人적 모달리티와의 共起는 제한적이다. 이에 비해 量性의 의미 소성을 지니는 「ちょっと」는 동작성 동사와 共起하여 동작의 시간적·공간적 측면의 양적 정도를 수식·한정하고, 명령과 의뢰 등의 모달리티와의 공기가 가능하다. 명제 외측에서 기능하는 「ちょっと」는 후속표현의 생략에 의하여 감동사적 기능으로서 사용되는 예가 많았으며, 의뢰표현과 함께 쓰이는 「ちょっと」는 일종의 유도부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요컨대 정도부사「ちょっと」는 명제적 측면과 함께 진술적 측면을 지닌 二面적 부사이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