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150716},
author={방극철},
title={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6},
number={15},
pages={81-97}
TY - JOUR
AU - 방극철
TI -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6
VL - null
IS - 1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81
EP - 97
SN - 1229-7275
AB - 본 논문에서는 근대일본어 대우표현 고찰의 일환으로 메이지기에 간행된 소설을 중심으로 문말표형형식을 性差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조사한 작품에서 메이지 초기에는 문말표현형식이『安愚樂鍋』17종의 사용에서 알 수 있듯이 에도 후기의 영향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메이지 20년대 『藪の鶯』에 사용되는 6종의 형식을 보면 상당히 간소화 정리되는 경향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이지 30년대 중반까지도 연령층이 높은 남성을 중심으로 에도어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고 다양한 문말표현형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社會百面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한편,「でござります」의 사용실태를 보면 메이지 20년대 초기까지 젊은 여성들이 친한 사이에서 가벼운 대우가치로 사용하고 있으며, 「でございます」보다 많이 사용되다가 메이지 30년대 중반에는 그 사용이 약화되기에 이른다. 결국, 性差의 관점에서 정리하면「でござります」는 남성의 경우가 여성보다 쇠퇴 현상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메이지 20년대 전체적인 문말표현형식의 간소화 경향이 시작되어, 메이지 40년대에는 현대일본어와 같은 5종이 되었다. 그 주류는 「です」「でございます」가 중심이 되고, 사용자의 사회계층을 생각하면 『社會百面相』에 등장하는 메이지 30년대 신흥지식인 계층(중·상류계층)이 사용하는 형식들이 현대일본어 문말표현형식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KW -
DO -
UR -
ER -
방극철. (2006).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5, 81-97.
방극철. 2006,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5, pp.81-97.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5 pp.81-97 (2006) : 81.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2006; 15 : 81-97.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5(2006) : 81-97.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5, 81-97.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6; 15 81-97.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2006; 15 : 81-97.
방극철. "A sociolinguistic study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the Kindai (Meiji Period)Japane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5(2006) : 8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