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A meaning of “teyaru”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6, (17), pp.87-99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양정순 1

1경희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고에서는 ‘てやる’의 의미로써 ‘방향성’ ‘이익성’ ‘의지성’으로 분석하였다. ‘てやる’는 화자와 상대 사이에서 사물이나 행위의 이동인 ‘방향성’을 나타낸다. ‘방향성’을 나타내는 ‘てやる’는 ‘전달’ 및 ‘이동’의 전항동사와 함께 사용되었다.『當世書生気質』『浮雲』에서는 ‘知らせる’ ‘附ける’ ‘話す’ ‘言う’ ‘だす’ ‘行く’ 사용되었지만 『多情多恨』에서는 ‘言う’ ‘行く’등이 사용되었다. ‘てやる’의 ‘이익성’에는 전항동사에 의한 발현 양상에 따라 ‘은혜’의 플러스적인 의미와 ‘피해’의 마이너스적인 의미로 분류되었다. 은혜의 표현은『當世書生気質』『浮雲』가 많았고,『夏木立』『多情多恨』에서는 피해의 표현이 많았다. ‘てやる’에는 ‘이익성’과 ‘방향성’ 표현 이외에 화자가 적극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목표 및 희망 달성’이라는 의지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용법으로 ‘의지성’의 표현이라 하고, 화자의 진술에 따라 ‘의지’ ‘희망’ ‘명령・의뢰・권유’로 나누어진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