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초급일본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법항목의 도입순서에 관한 일고찰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8, (21), pp.27-41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남득현 1

1명지전문대학

Accredited

ABSTRACT

지금까지의 초급레벨의 일본어학습자를 위한 교재의 실러버스는 명사문, 존재동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이라는 큰 틀 속에서 구성되어져 왔다. 그러나 동사가 도입되기 이전 단계에서 ~マス의 기능이나 アリ와 イ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로 アル와 イル의 형태가 아닌, アリマス와 イマス의 형태로 존재동사가 도입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학습과 지도가 실시되어 왔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출판된 초급일본어 교재의 문법항목을 비교분석하여 문법항목의 도입순서에 대한 문제점을 명확히 하고 제기된 문제점의 보완을 위한 초급일본어 문법항목의 도입순서모델을 제시하여 학습자 중심의 효율적인 문법항목의 도입순서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된 것이다. 본고의 교재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① 총 7권의 분석대상 교재 중에서 40개의 기본항목을 완벽하게 도입하고 있는 교재는 없었으며, (엘)>(재)>(즐)>(바)>(다)>(캠)>(곤)의 순으로 도입 문법항목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 도입 비율이 높은 기본항목으로는 2, 3, 4, 5, 6, 7, 9, 10, 25의 9개 항목이었으며, 50% 이상의 비율로 사용되는 항목이 8, 11, 12, 20의 4개 항목으로 총 13개 항목이 초급일본어 교재에서 도입되는 비율이 다른 항목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이 명사문과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과 관련된 항목으로 저자의 교재개발 의도나 본문 내용에 따른 문법항목의 선별적 적용이라는 영향을 비교적 덜 받기 때문에 그 도입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③ 다른 항목에 비해 우세하게 도입된 13개의 기본항목 중, (01), (05), (08)의 도입순서에 문제가 있으며, 학습자 중심의 적격한 문법항목을 도입하고 도입순서에 맞는 교재개발을 위해서는 기본형을 정중형이나 テ형에 선행시키고, 유사 문법항목의 연계학습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교수자의 일관성 있는 지도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