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239018},
author={송은미},
title={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8},
number={21},
pages={63-79}
TY - JOUR
AU - 송은미
TI -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8
VL - null
IS - 2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63
EP - 79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감정복합동사 중에서 후항이 문법화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순서로는 우선, 감정복합동사를 구성요소V1과 V2에서 나타나는 특징별로 분류해, 실질적 의미를 갖는 동사가 문법적 기능을 획득함에 따라 V2가 접사화되고, 감정이 극도의 상태와 감정의 강한 상태 또한, 추상적․주관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V2의 의미가 복합동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주로 강조) 경우, 동작동사인 V1과 결합해 감정복합동사를 이룰 경우, 동작동사의 감정동사로의 특수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감정동사로의 특수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V1의 주변적 의미 중에 감정이 포함되어져 있을 것(①)과 V2가 강조의 의미를 갖는다는 조건(②)이 필요하며, 또한 문장 내에 감정의 요인이 포함되어져 있다는 문맥적인 조건(③)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작주의 주체범위의 변화(④)가 일어나는 조건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었다.
KW -
DO -
UR -
ER -
송은미. (2008).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1, 63-79.
송은미. 2008,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1, pp.63-79.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1 pp.63-79 (2008) : 63.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2008; 21 : 63-79.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1(2008) : 63-79.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1, 63-79.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8; 21 63-79.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2008; 21 : 63-79.
송은미. "感情の複合動詞の語構造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1(2008) : 6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