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239294},
author={Cho, Nam sung},
title={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8},
number={21},
pages={131-151}
TY - JOUR
AU - Cho, Nam sung
TI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8
VL - null
IS - 21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31
EP - 151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한자어 유의어 습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학습 수준별 한자어 유의어의 습득: 학습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서 습득률은 증가하고 있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다. 특히 초급과 중급의 경우에는 미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한자어 유의어의 종류별 습득 : 일본어에서만 사용하는 한자어가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한자어보다 습득하기 어렵다. 후자는 (1)의 경우와 같이 초급과 중급의 경우 거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3)급수별 한자어 유의어의 습득:학습 수준에 상관없이 4급, 2급, 3급의 순으로 습득률이 높은데, 이는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한자어의 습득과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어에서만 사용하는 한자어의 경우는 거의 학습 수준에 상관없이 4급, 3급, 2급의 순으로 습득되고 있다. 그러나 양자의 경우는 초급과 중급보다, 초・중급과 상급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4)학습자의 정답률(습득률)에 따른 한자어 유의어의 난이도:난이도 上(정답률이 40% 미만)은 6문 (14.3%), 中(40% 이상~60% 미만)은 22문(52.4%), 下(60% 이상)는 14문(33.3%)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5)한자어 유의어의 개수에 따른 습득:한자어의 유의어 개수가 많은 쪽이 정답률이 낮아서, 습득률이 낮다.
KW -
DO -
UR -
ER -
Cho, Nam sung. (2008).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1, 131-151.
Cho, Nam sung. 2008,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1, pp.131-15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1 pp.131-151 (2008) : 13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2008; 21 : 131-15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1(2008) : 131-15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1, 131-15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8; 21 131-15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2008; 21 : 131-151.
Cho, Nam sung.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漢語の類似語の習得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1(2008) : 13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