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일본어의 문법현상과 통사구조 -보조동사문에 나타나는 재구조화현상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8, (23), pp.97-112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ark, Yongil 1

1한국외국어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 고에서는 재구조화라고 불리는 현상이 일본어의 보조동사문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을 명시했다. 특히, 재구조화현상이 일본어의 보조동사문에 나타난다는 사실을 명시하기 위해 제시한 증거들인, [NPI-Neg] 일치현상, [주어-존경어] 일치현상, 수동화현상, [だけ]와 Neg의 스코프현상, [そうする] 대용현상에 있어서, 이들 문법현상들 자체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를 명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재구조화는 보편적인 문법현상 가운데 하나이다. 2. [NPI-Neg] 일치현상, [주어-존경어] 일치현상, 수동화현상은 국소적 제약을 갖고 있다. 3. [だけ]와 Neg의 스코프현상은 의미해석과 통사구조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4. [そうする]의 대용현상은 [목적어-동사]의 연쇄가 문의 성분임을 보여준다. 본 고의 이와 같은 연구는 일본어 보조동사문의 통사적 특징를 명시한 것이며, 나아가 재구조화현상의 보편성을 경험적으로 지지한 것이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