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26681},
author={Park, Yongil},
title={[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9},
number={24},
pages={33-49}
TY - JOUR
AU - Park, Yongil
TI -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9
VL - null
IS - 24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33
EP - 49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일본어의 [Vてみる]문과 이와 대응하여 나타나는 한국어의 [V어 보다]문이 보여주고 있는 몇몇 문법현상을 관찰하여, [Vてみる]문과 [V-eo-boda]문은 복문구조라는 사실을 명시함과 동시에 [Vてみる]문과 [V어 보다]문이 보여주고 있는 단문현상도 명시했다. [Vてみる]문과 [V어 보다]문이 보여주고 있는 이와 같은 현상은, 하나의 문이 두 개의 구조를 갖는다는 일견 모순된 현상으로 보인다. 그러나, [Vてみる]문과 [V어 보다]문이 보여주고 있는 이와 같은 사실들은 이들 문이 복문으로 만들어져, 표면형태로는 단문으로서 기능한다는 이른바 재구조화(restructuring)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재구조화현상은 지금까지 구미 여러 언어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일본어나 한국어와 같은 아시아의 여러 언어에 있어서는 (Miyagawa(1986), Choe(1988)를 제외하고는) 재구조화현상에 대한 연구가 거의 미비한 상태이다. 본고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서 어떠한 동사문에서 재구조화현상이 나타나는지의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는 작업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W -
DO -
UR -
ER -
Park, Yongil. (2009).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4, 33-49.
Park, Yongil. 2009,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4, pp.33-49.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4 pp.33-49 (2009) : 33.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2009; 24 : 33-49.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4(2009) : 33-49.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4, 33-49.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9; 24 33-49.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2009; 24 : 33-49.
Park, Yongil. "[Vてみる]文に現れる文法現象と再構造化現象 -[V-eo-boda]文との比較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4(2009) : 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