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76306},
author={김순임},
title={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9},
number={25},
pages={19-32}
TY - JOUR
AU - 김순임
TI -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9
VL - null
IS - 2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9
EP - 32
SN - 1229-7275
AB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국립국어연구소에서 실시한 외래어 조사와 한국의 국립국어원에서 실시한 외래어 조사 결과 중, 중복되는 59개 항목의 인지도, 이해도, 사용도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과 일본의 외래어 수용 양상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지도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유사했지만 사용도에 있어서는 한국어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경우가 인터넷 통신이나 경제 관련 외래어를 일본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들어본 적이 있거나 뜻을 알고는 있지만 그에 반해 사용도가 높지 않은 외래어는 한국어보다 일본어가 더 많았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모두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비슷한 용법이 있기 때문에 오용이 일어날 가능성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본어교육, 한국어교육에 활용될 것이며, 외래어와 외국어의 정의를 명확히 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W -
DO -
UR -
ER -
김순임. (2009).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19-32.
김순임. 2009,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 pp.19-32.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pp.19-32 (2009) : 19.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2009; 25 : 19-32.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19-32.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19-32.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9; 25 19-32.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2009; 25 : 19-32.
김순임. "外來語の認知度および使用度に関する韓日対照硏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