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428746},
author={Kwangjoon Min},
title={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7},
pages={31-47}
TY - JOUR
AU - Kwangjoon Min
TI -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7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31
EP - 47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한국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실험 결과를 보고하기로 한다. ‘무관심’, ‘실망’, ‘감탄’, ‘의심’, ‘중립’의 발화의도에 따라서 한국인학습자(13명)가 발화한 일본어를 일본어화자에게 들려주고 그 발화의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5종류의 발화의도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56%로, ‘실망’(86%)과 ‘의심’(68%)에 대한 정답률이 ‘중립’(49%), ‘무관심’(46%), ‘감탄’(30%)에 대한 정답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감탄’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다음에 5종류의 발화의도에 따라서 일본어화자가 발화한 음성을 한국인학습자 (26명)에게 들려주고 그 발화의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감탄’(81%)과 ‘실망’(80%)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고, ‘의심’(68%), ‘중립’(63%), ‘무관심’(58%)에 대한 정답률이 낮았다. 한편, 생성실험과 지각실험에 모두 참여한 한국인학습자(13명)에 대해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 정답률과 지각 정답률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자 사이의 상관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W -
DO -
UR -
ER -
Kwangjoon Min. (2010).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7, 31-47.
Kwangjoon Min. 2010,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7, pp.31-47.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7 pp.31-47 (2010) : 31.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2010; 27 : 31-47.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7(2010) : 31-47.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7, 31-47.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7 31-47.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2010; 27 : 31-47.
Kwangjoon Min.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7(2010) : 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