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0, (27), pp.31~47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wangjoon Min 1

1건국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실험 결과를 보고하기로 한다. ‘무관심’, ‘실망’, ‘감탄’, ‘의심’, ‘중립’의 발화의도에 따라서 한국인학습자(13명)가 발화한 일본어를 일본어화자에게 들려주고 그 발화의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5종류의 발화의도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56%로, ‘실망’(86%)과 ‘의심’(68%)에 대한 정답률이 ‘중립’(49%), ‘무관심’(46%), ‘감탄’(30%)에 대한 정답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감탄’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다음에 5종류의 발화의도에 따라서 일본어화자가 발화한 음성을 한국인학습자 (26명)에게 들려주고 그 발화의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감탄’(81%)과 ‘실망’(80%)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고, ‘의심’(68%), ‘중립’(63%), ‘무관심’(58%)에 대한 정답률이 낮았다. 한편, 생성실험과 지각실험에 모두 참여한 한국인학습자(13명)에 대해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 정답률과 지각 정답률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자 사이의 상관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