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 -200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0, (28), pp.17-30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Jung Sang Cheol 1

1한국외국어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2000년 이후에 이루어진 현대일본어 문법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그 특징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점검하여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먼저 일반언어학과 일본어학, 그리고 일본어 문법연구를 둘러싼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그러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연구의 현황과 특징을 1)시대별 연구동향, 2)「이론」과「기술」, 3)2000년 이후의 문법연구, 4)한국에서의 문법연구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2000년 이후의 문법연구는 다양화/다각화의 시대라는 점에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공감하고 있는 특징인 것 같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문법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이론적인 문법연구」와 「기술적인 문법연구」에 대한 양측의 입장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 시기의 대표적인 이론적 연구로는 문법화와 어휘개념구조에 의한 구문연구 등이 있고, 기술적인 연구로는 총7권으로 구성된 일본어기술연구회편에 의한 일련의 연구들을 대표적인 성과로 들 수 있다. 한편 한국에서의 일본어 문법연구의 특징적인 경향으로는 연구자수의 증가와 더불어 여러분야로 연구범위가 확장되면서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진 한편 질적인 수준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용성이라는 요인이 관련되어 있어서인지 이론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다양화/다각화의 시대라는 하나의 전환기에 서있는 현재의 연구 수준을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바람직한 연구자세와 연구방법론, 연구의 우선순서 등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이 모아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분석과 종합, 명제와 모달리티 등 문 성립에 필수불가결하면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심도있고 정확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