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사회언어학의 현황과 가능성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0, (28), pp.31-47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Hong, Min-Pyo 1

1계명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어학 연구는 학제적 연구는 물론이고 일본어학 내에서 조차도 분야별 경계나 벽이 너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우리가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일본어의 사용실태나 양상은 생각보다 복잡하며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한 분야의 연구나 분석으로는 일본어라는 현상을 밝혀내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ら抜き言葉」문제도 단지 활용의 문제라고 해서 문법론적인 고찰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개개의 동사 별로「ら抜き言葉」의 사용 빈도가 다르다고 하는 것은 어휘론적인 문제이며, 짧은 말이 유행하는 것은 음운론적인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일본의 각 지역 또는 연령대별로 「ら抜き言葉」의 사용 양상이 다른 것은 사회언어학의 과제이다. 이처럼 일본어의 어떤 현상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경계를 넘어서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고찰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맥락에서 앞으로 일본어학 연구도 지금까지 분류되어 온 문법, 음성, 어휘, 사회언어학 등의 경계를 넘어서는 융, 복합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블로그(blog)를 코퍼스로 이용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면 다방면에 걸친 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실례로 들어서 소개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