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480346},
author={Haehwan Park},
title={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8},
pages={63-82}
TY - JOUR
AU - Haehwan Park
TI -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63
EP - 82
SN - 1229-7275
AB - 본고는 한・일어의 「飮食」 표현 및 그와 관련한 문화적인 배경과의 관계를 언어문화학적 대조 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양국어의 「飮食」 표현에 사용되는 주요 동사와 그 기본적 의미, 주요 「飮食」 동사와 「飮食」 대상인 명사와의 공기 관계, 「飮食」 표현과 「飮食」 행위에 사용되는 숟가락과 젓가락 등의 도구와의 관계, 「飮食」 도구의 차이로 인한 문화적 특징의 차이 등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그 결과, 양국어의 언어 표현과 문화적 배경에 있어서 많은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양국어의 언어 표현에 문화적 특징이 관여하는 영향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飮食」과 관련된 한・일의 언어 표현과 문화적 특징의 차이에는 「한국은 숟가락 중심의 수저문화이며 일본은 젓가락문화」라는 기준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러한 언어문화학적 대조 연구의 결과는 그 자체로서 대조언어학적인 특징이며, 또한 일본어교육의 현장에서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그 하나의 시론인 만큼 향후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의 구축에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KW -
DO -
UR -
ER -
Haehwan Park. (2010).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63-82.
Haehwan Park. 2010,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 pp.63-82.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pp.63-82 (2010) : 63.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2010; 28 : 63-82.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63-82.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63-82.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8 63-82.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2010; 28 : 63-82.
Haehwan Park. "韓・日語の「飲食」表現の対照研究 -言語表現と文化的背景との関連性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6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