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480353},
author={요시다 다카},
title={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8},
pages={137-153}
TY - JOUR
AU - 요시다 다카
TI -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37
EP - 153
SN - 1229-7275
AB - 日本語はオノマトペが多様に使用される言語である。しかし、学習者がそれらを理解し使用するのは簡単なことではない。本稿では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日本語学習者が、清濁の対立のある日本語オノマトペにふれたときに受けるイメージを、意味微分法(semantic differential)を使用して調査・比較した。その結果、清音・濁音・半濁音の対立におけるイメージに違いがみられた。母語話者は半濁音>清音>濁音の順に「細い・弱い・静かな・軽い」などのイメージをもっているが、韓国人学習者は清音>濁音>半濁音の順にこのようなイメージをもっており、半濁音のイメージに大きく差が現われた。また、清濁の対立の中でも無声破裂音と有声破裂音の対立は、韓国人学習者にとっては母語の影響のため区別することが難しい音であり、オノマトペのイメージにも対立が現われなかった為、母語話者がもつイメージとの違いがみられた。
KW -
DO -
UR -
ER -
요시다 다카. (2010).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137-153.
요시다 다카. 2010,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 pp.137-153.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pp.137-153 (2010) : 137.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2010; 28 : 137-153.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137-153.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137-153.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8 137-153.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2010; 28 : 137-153.
요시다 다카. "일본어오노마토페에 대한 모어화자와 한국인학습자와의 이미지 차이 - 청탁음의 대립을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137-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