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480358},
author={Aesook Cho},
title={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8},
pages={211-232}
TY - JOUR
AU - Aesook Cho
TI -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11
EP - 232
SN - 1229-7275
AB - 본고의 목적은「とりたて」관점에서 구어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ナンカ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통하여 통사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통사와 의미의 상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우선 구어체에서 사용되는 ナンカ(총 998예)의 출현빈도는「とりたて詞>副詞>不定代名詞>接続詞>形式名詞」順으로 とりたて詞(833예(83.47%))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으며 とりたて詞 ナンカ의 출현위치는「명사구>술어>지시사>종속절」順으로 명사구에의 접속(779예(93.52%))이 가장 일반적인 사용 형태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명사구와의 관계에서 ①전접하는 명사의 특성(特定/不特定 및 疑問/數量과의 접속여부) ②격조사와의 승접빈도(「ナンカ+助詞」(110예(13.21%)>「助詞+ナンカ」(34예(4.08%)) ③判定詞「ダ」를 동반한 文末의 술어로서의 기능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술어 및 그 외의 요소와의 관계에서는 ①술어와의 분포위치(「동사テ형」(24예(2.88%))>동작성명사와「スル」사이>「イ형용사ク형」>「동사タリ형」빈도順)②술어기본형 및 인용절, 이유절에의 접속불가 현상은 ナド와의 차이가 단순한 文體적 차이만이 아님을 示唆한다는 것을 지적하였고 ③否定은「評価」뿐만 아니라「婉曲」(및「例示」)용법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ナンカ의 의미용법 분류는 동반하는 술어의 특성(否定/肯定술어)이 아니라 문맥상의 情報에 나타난 화자의 심적 태도(가치판단이나 평가)에 따라 구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단,「否定的評価」로 분류되는 ナンカ가 (통사적 및 의미적)否定表現과 共起하기 쉬운 현상은「Xナンカ」의「X」가, 대비되는 요소인「X以外」보다 서열상 하위요소이기 때문에 하위요소에 대한 화자의 심적 판단이 否定的으로 표현된다고 규정하였다.
KW -
DO -
UR -
ER -
Aesook Cho. (2010).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211-232.
Aesook Cho. 2010,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 pp.211-232.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pp.211-232 (2010) : 211.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2010; 28 : 211-232.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211-232.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8, 211-232.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8 211-232.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2010; 28 : 211-232.
Aesook Cho. "現代日本語「なんか」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8(2010) : 211-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