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02046},
author={KimKwangTae},
title={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9},
pages={1-16}
TY - JOUR
AU - KimKwangTae
TI -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9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
EP - 16
SN - 1229-7275
AB - 본 연구는 한국의 <옛날이야기>와 일본의 <昔話>을 자료로 하여, 한일 양언어에 있어서 웃음을 통한 <喜>의 감정을 나타내는 오노매토피어에 관하여 고찰해 봄으로써, 양언어의 감정표현의 양상 및 특징을 파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언어가 정의적인 오노매토피어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정서와 감정이 농후하고 화자의 감정을 생동감 있으며 구체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일본인은 화자의 기쁨을 외적으로 표출하는 점에 있어서는 소극적이며, 상대를 배려한다는 마음에서 노골적으로 음성(의음오노매토피어)으로 나타내기 보다는 표정(의태오노매토피어)으로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반면, 한국인은 자신이나 상대의 감정표현을 음성(의음오노매토피어)을 통하여 직접적이며 적극적으로 표출해 보이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W -
DO -
UR -
ER -
KimKwangTae. (2010).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1-16.
KimKwangTae. 2010,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 pp.1-16.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pp.1-16 (2010) : 1.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2010; 29 : 1-16.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2010) : 1-16.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1-16.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9 1-16.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2010; 29 : 1-16.
KimKwangTae. "韓日兩言語の「喜」の感情オノマトペ -笑いの表出を中心にして-"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2010) :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