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609514},
author={박해환},
title={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1},
number={32},
pages={85-103}
TY - JOUR
AU - 박해환
TI -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1
VL - null
IS - 32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85
EP - 103
SN - 1229-7275
AB - 본고는 한국의 일본어학연구 규모의 전체상을 파악하고 그 환경과 시스템 및 내용과 관점에 대하여 문제점으로 판단되는 점을 검토함으로써 그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서두에서 한국의 일본 관련 연구 규모의 관점으로서 일본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과 대학원,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는 학회와 연구소를 중심으로 그 대략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본론에서는 현황 진단과 향후의 방향성 모색의 관점으로서,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환경과 시스템의 면에서는 「연구의 양과 질의 밸런스, 학회 및 학술지의 성격, 교류와 소통, 전문 분야별 연구 활동, 대학원생에 대한 포괄적인 배려」 등에 관한 내용을,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내용과 관점의 면에서는 「분야 간의 융·복합 연구 및 타 분야와의 연계 연구, 한국에 있어서의 일본어교육연구, 한국에 있어서의 한일어대조연구, 넓은 시야와 장기적인 계획에 근거한 연구 활동, 장기적인 관점의 기획과 연구에 근거한 출판 활동」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본론에서 검토한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방향성에 관한 핵심적인 내용의 대략은 「연구 환경 및 시스템의 보강과 개선에 의한 연구의 질적 완성도의 제고, 교류와 소통을 통한 연구의 유기적이고도 통합적인 선순환의 사이클 확보, 융·복합과 연계의 방법을 통한 연대 연구의 활성화,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 환원되는 연구의 확대, 넓은 시야와 장기적인 안목의 기획과 연구에 근거한 집대성 중심의 연구 풍토 조성,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자의 입장과 역할을 중시하는 연구 환경 조성, 다양한 전문 연구 모임을 통한 교류와 소통의 활성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일본어학 전체 역량의 성장에 기여하는 연구의 증대」 등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KW -
DO -
UR -
ER -
박해환. (2011).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85-103.
박해환. 2011,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 pp.85-103.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pp.85-103 (2011) : 85.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2011; 32 : 85-103.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2011) : 85-103.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85-103.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1; 32 85-103.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2011; 32 : 85-103.
박해환. "韓国の日本語学研究の方向性"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2011) : 8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