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국어 한자어[24개]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164명]의 이해와 이 결과의 일본어 어휘 교육에의 응용 일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한자어 중에서 한국어에서는 사용하고 있으나 일본어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은 한자어는 87.2% 정도가 일본어 모어화자에게 이해되고 있지 않다. 이들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24문제별 빈도가 높은 유추 어휘[20%(33명) 이상]를 보면 다음과 같다.(◎표는 올바른 유추 어휘)문1.便紙:◎手紙[96/164명], トイレットペーパー[52], 2.放学:放課後[26], 3.求景:景色[47], 4.膳物:◎プレゼント[23], 5.複道:わかれ道[14], 6.女大:◎女子大学[83], 女子大生[69], 7.同生:同級生[122], 8.家◎:玄関[125], 9.福券:◎宝くじ[83], 福引(き)券[35], 10.団束:団結[31], 11.手票:選挙[33], 12.徳談:◎良い話[28], 13.休紙:◎トイレペーパー[29], 欠席届(け)[29], 14.食◎:食道[34], 15.感気:感情[18], 16.問病:病気[25], 17.男便:男子便所[68], 男子トイレ[48], 18.花闘:◎花札[23], 19.相議:◎相談[54], 会議[45], 20.名単:名前[29], 21.問議:質問[51], 会議[38], 22.誠金:給料[24], 23.外上:屋上[44], 空[33], 24.車票:ナンバープレート[52]위의 결과는 한국인 일본어교사에게 오용 정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공함과 동시에, 어휘 지도에 도움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