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609524},
author={BeomSeok Lee},
title={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1},
number={32},
pages={203-223}
TY - JOUR
AU - BeomSeok Lee
TI -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1
VL - null
IS - 32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03
EP - 223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총21종의 일한사전에 대한 상세한 고찰에 앞서 각 사전의 “수록어휘의 범위, 문법, 용법, 용례, 그리고 발음관련 정보 등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특히 21종의 일한사전 중에는 동일 출판사에서 수록어수와 크기를 달리하며 복수의 사전이 편찬되어 있었는데, 이들 사이에는 어떤 차별화된 특징들이 있는지? 또한 서로 다른 출판사의 유사한 사전 간에는 어떠한 이동(異同)과 특징들이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인 경향으로는 동일출판사의 복수의 사전 간에는 차별화된 특징들을 엿볼 수 없었으며, 단지 수록어수와 용례수가 많고 적음에 따른 정량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타 출판사의 유사 사전 간 에도 민중서림⑥『日本三省堂版新日韓辞典(例解)』, 두산동아『프라임 학습일한사전』그리고,『Sisa처음 일본어사전』을 제외한 나머지 사전에서는 매우 유사한 면을 보였다. 다만, 상기한 “수록어휘의 범위, 문법, 용법, 용례, 그리고 발음”에 관한 개별적 이동(異同)에 따른 결과는「6,맺음말」의 <표10>과 같았다.
KW -
DO -
UR -
ER -
BeomSeok Lee. (2011).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203-223.
BeomSeok Lee. 2011,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 pp.203-22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pp.203-223 (2011) : 20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2011; 32 : 203-22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2011) : 203-22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203-22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1; 32 203-22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2011; 32 : 203-223.
BeomSeok Lee. "韓国における日韓辞典の特徴"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2011) : 203-223.